728x90
나는 최근에 코칭을 연습하는 사람 두명에게 코칭을 받은 적이 있다. 최소 5회 이상 받아보았는데, 그들이 전문적인 코치는 아니었지만 분명 나에게 도움이 되는 지점이 있어서 코칭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코칭의 역사와 기원
- 고대에는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이나 불교의 간화선 등의 개념이 코칭과 유사하다.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은 흔히 산파술이라고 하는데,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스스로 쌓을 수 있는 지혜를 모두 쌓은 후, 스스로 쌓기 어려워지자 새로운 지혜를 낳기 위해 다른 사람들이 지혜를 낳는 것을 돕고 타인과의 대화로 더 많은 지혜를 쌓기 위해 질문을 하기 시작했다. 그것을 아이 낳는 것을 돕는 '산파'에 비유하여 산파술이라 부르게 되었다. (출처: 위키백과)
- 불교의 간화선은 화두를 살펴서 수행자가 깨달음을 얻는 방법으로, '간(看)'이란 잘 살펴 본다는 의미이며, '화(話)'란 화두(話頭)를 말한다. (출처: 위키백과)
- 그 이후에는 1850년대 영국 옥스포드 대학에 수험지도 개인교사 튜터(Tutor)가 나타났고, 1880년대에는 스포츠 분야에서 코치(Coach)라는 용어가 등장했으며 이후 비지니스 코칭, 임원 코칭으로 확대되다가 대중적으로 확산된 개념이라고 한다.
- 어원적으로는 1500년대 헝가리 도시 'Kocs'에서 마차가 등장했고, 말을 끄는 마차(Coach)에서 유래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끌고 가듯, 코치도 피코치를 원하는 목적까지 가는데 도움을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 조금 더 구체화된 현대적 코칭의 기원은 1975년 테니스 코치 티모시 골웨이의 '테니스 이너게임'에서 출발한다. 그는 기술적이고 상세한 지시보다 선수 자신의 내면적 정신에 집중하도록 도울 때 가장 쉽게 테니스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골웨이의 지도를 받은 사람들은 이 방식이 회사 생활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도 적용된다 생각했고 '이너게임'을 배운 코치들이 기업에서 이를 가르치게 된다. 존 휘트모어는 이너게임 접근법을 유럽에 소개하고 1996년 '성과를 위한 코칭'을 저술하여 확대, 발전 시킨다.
코칭의 정의
세계 최대 글로벌 코치양성전문기관인 CCU(Corportate Coach University)에 따르면
코칭은 "발전하려고 하는 의지가 있는 개인이 코치와 함께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하고, 발견 프로세스를 통해 목표 설정, 전략적인 행동, 그리고 뛰어난 결과의 성취를 가능하게 해주는 협력적 관계"라고 정의한다. 한국코치협회에서는 "고객이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스스로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실행력을 높여주는 코치와 고객 간의 대화 프로세스"라고 정의한다.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의 극대화하여 최상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수평적 파트너십"이라 말하기도 한다.
구글AI에게 물어보니 이렇게 답하더라. "변화와 성장을 가져다주는 대화 기술", "고객이 가진 문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 다양한 정의들을 접하다보니 대화와 협력이 매우 중요해보인다.
코칭과 상담은 무엇이 다른가?
- 컨설팅과의 차이점: 컨설팅은 컨설턴트가 문제를 조사하고 해결책을 제시한다. 코칭은 피코치가 스스로 문제를 탐색하고 해결책을 찾게 한다.
- 상담과의 차이점: 상담은 내담자의 정서적인 고통을 해결한다. 코칭은 정서적 문제만을 다루지 않으며 업무 성과, 진로 계획 등 일상 생활의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또한 고통을 해결하기보다는 목표를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 멘토링과의 차이점: 멘토링 관계에서 멘토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이며 선배이다. 코칭 관계에서 코치는 반드시 해당 분야의 전문가일 필요는 없다. 코치는 자신의 자원을 사용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적절한 경청과 질문을 사용하며 수평적인 관계이다.
참고자료
http://www.kcoach.or.kr/02guide/guide01.html
https://ko.wikipedia.org/wiki/%EC%BD%94%EC%B9%AD
728x90
'코칭 방법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가 좋은 질문을 던지지 못하는 이유 (0) | 2023.12.09 |
---|---|
코칭의 원리는 상호 커뮤니케이션(코칭의 원리와 기법, 추천도서) (0) | 2023.12.09 |
논문을 빨리 찾고, 잘 읽는 방법 (DeepL, ChatPDF, Chat GPT) (1) | 2023.08.27 |
대화도 점수로 매길 수 있다 Cognitive Interviewing (1) | 2023.08.27 |
애자일 방법론 실질적으로 잘 사용하기 EoA(Essence of Agile) (1) | 2023.08.27 |